테스트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임의 문서
도구
최근 변경
인터넷 방송
(편집 요청)
[알림]
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.
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. 로그인된 사용자(이)여야 합니다. 해당 문서의
ACL 탭
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여담 == * 한국에는 [[지상파 방송|지상파]]/[[케이블 방송|케이블]]에도 개인 인터넷 방송의 자유스러운 포맷을 차용해 오는 경우가 많이 있다. 특히 [[게임]] 전문 채널인 [[OGN]](온게임넷)이 두드러지는데, 개인 방송의 거의 대부분이 게임 실황 방송이어서 그 포맷을 거의 그대로 가지고 와도 채널 특성상 별 무리 없이 소화할 수 있어서 그렇게 된 듯하다. 아예 인터넷 방송인들을 데리고 와서 만든 [[G맨 게임종결자]]나, [[나는 캐리다]] 라인의 [[리그 오브 레전드]] 실황 계열 등이 대표적인 예제. 심지어 지상파 방송인 [[MBC]]에서는 [[마이 리틀 텔레비전]]이라는 인터넷 방송을 배경으로 한 프로그램까지 생겼다. * 정치계에서도 인터넷 방송 활용이 의외로 많은 편인데, 2011년 [[나는 꼼수다]]라는 팟캐스트 프로그램이 무시못할 열풍을 이끌었고, 2017년 대선을 앞두고는 [[문재인]], [[안철수]], [[안희정]], [[이재명]] 등 유력 대선주자들이 유튜브나 페이스북 라이브를 통해 [[https://www.hankookilbo.com/News/Read/201701290854327573|소통]]을 시도하면서 널리 알려졌다. 이는 특별히 정치 성향을 가리지 않아서 진보 성향 인터넷 방송뿐만 아니라 보수 성향 인터넷 방송도 활발한 편이다. 대표적으로 보수 성향 언론인인 [[정규재]]는 유튜브에 정규재TV를 세워 매일 저녁 생방송으로 뉴스를 진행하고 있으며, 2017년 1월에는 탄핵 이후 언론과 일체 접촉을 하지 않았던 [[박근혜]] 전 대통령을 단독으로 인터뷰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. * 중국에서는 인터넷 방송 상위 0.5% 안에 들면 인생 역전을 하는 수준의 수익을 벌어들일 수 있어서 인터넷 방송을 하는 사람이 1억 5000만 명이나 된다고 한다. [[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16/0002207871|#]]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SA 4.0
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63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Liberty
|
the tree